티스토리 뷰
봄제철 음식으로 두릅을 떠올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봄나물 중에서 두릅을 가장 좋아해서 두릅 제철이 오기만을 기다렸어요. 두릅은 짧은 기간에만 만나볼 수 있는 음식이라서 제철 시기를 놓치면 안 되는 것 아시죠. 제대로 즐기려면 두릅 데치기도 알아두어야 하는데, 두릅 데칠 때 시간이 상당히 중요하답니다.
인기 봄나물 두릅
요즘 시장이나 마트에 가면 냉이, 달래, 씀바귀, 봄동 같은 봄나물을 볼 수 있어요. 보기만 해도 봄이 느껴지는데 제가 가장 좋아하는 봄나물은 두릅이랍니다. 봄나물 중에서도 가장 대접을 받는 두릅은 짧은 기간에만 먹을 수 있고, 재배도 어려워서 가격이 비쌉니다. 하지만 두릅의 향과 맛, 영양, 식감에 빠지면 두릅 제철만 기다리게 될 거예요.
어릴 적에는 두릅 맛이나 향을 잘 몰라서 얼마나 귀한 음식인지 몰랐는데요. 알고 보니 영양도 풍부한 음식이더라고요.
두릅 효능 뭘까요
면역력 강화 : 오락가락한 봄날씨에 피로해진 몸을 두릅에 풍부한 비타민과 항산화 물질이 싹 개선해 줍니다. 봄이 되면 무조건 봄 제철 음식을 챙겨야 해요.
혈관 튼튼 : 평소 고기, 튀김, 설탕 좋아하는 분들은 두릅을 드시면 좋아요. 사포닌 성분이 혈압 조절, 혈관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해요.
뼈 건강 : 뼈를 튼튼하게 하는 영양소하면 칼슘이 떠오르는데 두릅에도 칼슘이 들어 있으며, 흡수율이 높은 편입니다.
노화 방지 : 요즘은 숫자 나이보다 건강 나이, 외모 나이가 더 중요해졌는데요. 두릅에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노화 방지 및 질병 예방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변비 예방에 좋고, 칼로리가 낮아서 다이어트할 때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어요. 제가 괜히 두릅 제철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랍니다.
365일 두릅을 맛볼 수 있으면 좋겠지만 두릅 채취시기가 정해져 있어요. 봄나물이니까 3월쯤이 제철인가 생각할 수 있는데 지역이나 종류에 따라 제철 시기가 조금 다르답니다.
참두릅 채취시기 언제
두릅이라고 하면 두릅나무에서 자라는 새순, 참두릅을 떠올리는 분들이 많은데요. 참두릅 채취시기는 남부지방의 경우 3월부터 4월까지이며, 이 시기에 두릅이 가장 맛있고 영양이 풍부합니다. 중부지방은 4월부터 5월까지입니다.
땅두릅 채취시기 언제
땅두릅은 땅에서 자라는 것이 특징으로 보통 4월 초부터 5월 말까지 수확할 수 있습니다. 기온이 따뜻한 남부지방의 경우 더 빨리 수확을 시작할 수 있으며, 하우스 재배를 하는 경우에는 3월 하순부터 수확 가능합니다. 4월은 되어야 수확량이 늘고 두릅 가격이 저렴해지니 너무 급하게 구입하지 마세요.
두릅 먹는법 데치기
비싸고 귀한 두릅을 제대로 먹는 방법은 끓는 물에 데치기입니다. 제철 두릅은 특별한 양념을 추가하지 않아도 맛이 좋지만 미량의 독을 가지고 있어서 살짝 데쳐서 드셔야 해요.
제철 두릅 데치기 방법
1. 흙이나 이물질을 흐르는 물로 씻어주세요.
2. 물 1리터에 소금 1스푼을 넣고 끓입니다.
3. 물이 끓으면 두릅 입동부터 넣고 20초, 잎까지 넣고 10초를 데칩니다. 두릅 데치는 시간은 30초를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 데친 두릅은 바로 찬물에 헹궈 남은 열기를 제거해 주세요.
5. 식힌 두릅은 초장만 살짝 찍어 먹어도 맛있습니다.
특별하게 요리하지 않아도 맛과 향이 좋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은 튀김이나 전으로 부쳐서 드셔도 좋아요.
두릅 데치기 시간 중요한 이유
두릅을 데치는 것은 간단하지만 섬세하게 시간을 조절해야 하는데요. 너무 오래 데치면 흐물흐물해서 특유의 아삭한 식감을 즐길 수가 없어요. 게다가 몸에 좋은 영양소도 파괴될 수 있어서 너무 오래 데치지 않아야 합니다. 굵은 줄기부터 먼저 넣고, 잎 부분은 나중에 살짝만 데치기 잊지 말아 주세요. 시간은 30초 ~ 1분이 적당하답니다.
봄은 짧기 때문에 봄 제철음식은 다 챙겨드시는 것이 좋으며, 특히 두릅은 춘곤증, 면역력, 혈관 건강, 신경 안정에도 효과가 있으니 제철을 놓치지 말고 꼭 드셔야 해요.
'건강한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단 찜기(찜솥)로 약밥(약식) 만들기 (0) | 2025.03.21 |
---|---|
딸기 냉장 냉동 보관 기간 얼마일까 (0) | 2025.03.07 |
오렌지 제철 오래먹는 보관 방법은 (0) | 2025.02.25 |
삶은 계란 1개 영양성분 칼로리 얼마인가요 (0) | 2025.02.22 |
삼겹살 1인분 영양성분 칼로리 얼마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