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해마다 한포진으로 고생하고 있어서 최대한 주의했는데도 며칠 방심했다는 이유로 한포진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자주 겪는 저도 속상한데 처음 한포진이 생긴 경우 당황하실 것 같습니다. 한포진 생겼을때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 전염성은 없는지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포진이란
피부질환 중에 하나입니다. 주로 여름에 많이 발생하며 한포진 원인으로는 면역력 저하, 잦은 물 사용, 세제와 비누, 샴푸 등 자극 물질에 피부 노출 등이 있습니다. 피부에 자극을 받았을 때 발생하며 면역력이 저하되었을 때 증상이 나타나고 심해집니다.
제 경우에도 젊었을 때는 한포진 증상이 없었는데 나이가 들고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생겼습니다. 한포진은 물론 햇빛 알레르기까지 있어서 여름마다 무척 괴롭습니다.
한포진 발생시기
언제 주로 발생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계신데 날씨가 덥고 습해지는 6월 부터 슬슬 올라옵니다. 날씨가 덥다고 장갑을 끼지 않은 채 설거지를 하거나 손을 씻고 로션을 바르지 않을 경우 피부장벽 기능이 약해져서 한포진 증상이 생기기 쉽습니다. 제 경험상 그랬습니다.
한포진은 여름에는 증상이 더 심해지고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가을이 되면 사라집니다. 때문에 잠깐 참으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냥 방치하면 점점 심해지고 흉터가 남을 수 있습니다.
한포진 초기 증상 (개인적인 경험)
1. 손바닥과 손가락이 건조하고 붓고 뻣뻣한 느낌이 듭니다.
2. 손가락 끝, 손톱 주변, 손가락 사이 피부에 1~2mm 정도의 작은 물집이 생깁니다.
3. 물집은 하나씩 생기다가 점점 늘어나고 크기가 커집니다.
4. 물집은 심하게 가렵습니다.
5. 한포진 연고를 바르거나 약을 복용하면 물집이 가라앉고 가려움도 완화됩니다. 자연스럽게 물집이 사라지고 터지다가 각질이 생기고 피부가 벗겨지면서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하지만 증상을 방치할 경우 물집이 점점 커지고 여러개의 한포진이 뭉쳐져 가렵고 아픕니다. 함부로 터트리다가 더 심해지거나 흉터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초기에 증상을 관리하지 않으면 더 심해지기 때문에 한포진 생겼을때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한포진 전염되나요
피부질환 증상은 겉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불쾌함을 줄 수도 있습니다. 전염되는 것은 아니냐며 눈치를 주는 사람도 있는데 세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서 전염되지 않습니다. (당사자 혼자만 괴롭고 힘든 질환입니다.) 한포진 전염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한포진 치료 방법
한포진 연고 바르기
보통 피부질환이 발생하면 연고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한포진 증상 또한 연고를 바르는 것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완전히 막을 수는 없습니다. 스테로이드 연고는 장기 사용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너무 가려울 때 면봉으로 살짝 바르곤 합니다.
한포진 약 복용하기
심할 때는 바르는약은 물론 먹는약도 사용해야 합니다. 다만 약 또한 장기 복용하면 좋지 않고 내성도 생기기 때문에 약에만 의존해서는 안됩니다. 한포진은 치료 + 관리를 함께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한포진 스스로 치료하기
1. 설거지할 때는 반드시 면 장갑을 착용 후 고무장갑을 착용합니다. 또한 사용한 면 장갑은 세탁하고 햇볕에 잘 말려야 합니다. 한포진 증상을 경험해 본 분들은 절대 맨손 설거지 하면 안 됩니다.
2. 샤워하고 머리를 감기 위해 비누, 샴푸 등을 사용했을 때는 서둘러 깨끗한 물로 씻고 완전 건조한 후 손에 보습제를 바릅니다. 그래야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고 피부 장벽기능이 손상되지 않습니다. 저는 지난번에 화장실 청소한 후 보습제를 바르지 않은 것이 문제가 된 것 같습니다.
3. 스트레스를 쌓아두지 않고 충분히 수면합니다. 한포진은 면역력이 약해지면 더 심해지기 때문에 잘 먹고 잘 자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로감을 느끼면 증상이 심해지는 것 같았습니다.
저는 아직까지는 한포진 초기 증상이라서 관리만 하고 있는데 더 더워지면 심해질 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심하지 않은데 라며 방심하지 말고 끝까지 잘 관리해서 한포진 걱정 없는 여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건강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가 안끝나요 지속되는 이유 (0) | 2024.08.02 |
---|---|
모기 물린데 멍 물집 부음 대처법 (0) | 2024.07.22 |
크레아티닌 수치 높으면 또는 낮으면 (0) | 2024.07.04 |
체리혈관종 생긴 원인 제거 방법 (0) | 2024.06.29 |
얼굴 열내리기 열나는 이유 해결 방법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