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햇빛 알레르기 증상으로 인해 여름이 반갑지 않은 분들이 있습니다. 햇빛에 노출된 부위에 발생한 붉은 두드러기 때문인데요. 단순 피부염이라고 생각하기에는 보기에도 신경 쓰이고 가려움을 참기 힘들어요. 햇빛 알레르기를 예방할 수는 없을까요. 증상이 나타났을 때 대처법과 예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외출 후 돌아왔을 때 팔에 두드러기 같은 것이 나타났던 경험 없으세요. 햇빛 알레르기 증상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햇빛 알레르기는 햇빛, 자외선을 받아 피부가 도돌도돌 붉게 부어 오르거나 가려움증이 생기는 질병으로 심할 경우 물집이 나타나고 두통, 발열이 수반될 수 있어요.

 


햇빛 알레르기 원인은 햇빛이며 UVA와 UVB 모두 발병 위험이 있어서 태양이 강한 여름철은 물론 자외선이 강해지는 봄부터 주의를 해야 합니다. 피부에 자외선이 닿으면 피부 내부에서 히스타민이라는 것이 생성되는데 이것이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합니다. 유전, 약물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혹시 햇빛 알레르기 증상은 아닐까요. 햇빛 알레르기 주요 증세로는 팔과 목, 가슴에 나타나는 붉은 발진과 수포, 가려움이 있습니다. 햇빛이 닿은 부분에 갑자기 두드러기 같은 것이 올라오고 엄청 가렵습니다. 겨울 동안에는 가려져 있던 약해진 피부에 생기기 쉽습니다.

 


습진은 보기에도 신경이 쓰이는데 가려움을 동반해서 손으로 긁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간지럽다고 긁다보면 피부가 손상되고 출혈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2차적인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습진의 경우 자연스럽게 사라지는데 심하면 두통이나 메스꺼움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햇빛 알레르기 치료법은 없을까요. 원인이 되는 햇빛을 피하고 시간이 흐르면 가라앉습니다. 알레르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났다면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연고가 효과가 있어요. 다만 지나치게 자주 사용하면 내성이 생기고 나중에는 효과가 미미해지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합니다.

 


평소 햇빛 알레르기 증상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 되는데요. 외출을 할 때는 반드시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긴팔, 양산 등으로 피부에 햇빛이 닿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눈을 보호해주는 선글라스도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경우 SPF와 PA지수를 확인하면 좋은데요. 가벼운 실외 활동을 할 경우에는 SPF 10~30,  PA++ 가 적당하며 장시간 야외 활동을 할 때는 SPF 50, PA+++ 이상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SPF는 UVB의 차단 정도 PA는 UVA의 차단 정도를 나타내며 숫자가 클수록 효과가 좋습니다.

 


실내에 있을 때도 유리창으로 자외선이 투과되므로 선크림을 바르고 있는 것이 좋아요. 햇빛 알레르기가 심한 사람은 실내에 있어도 주의가 필요하며 선크림 외에 커튼으로 가리거나 창문에 자외선 차단 필름을 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제는 외출하기 15~30분 전에 바르는 것이 좋으며 땀과 피지로 인해 지워지기 때문에 2~3시간 마다 덧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얼굴에는 500원 동전 크기만큼 바르고, 팔, 종아리, 목에도 충분히 발라야 햇빛 알레르기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햇빛 알레르기가 심한 분들은 자외선이 강한 시간을 피해 외출을 하는 것이 좋아요. 오후 12시~ 2시 사이에는 햇빛이 강하기 때문에 가능한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으며 외출할 경우 단단히 준비를 합니다. 미리 자외선 지수를 체크하는 습관을 만들면 좋습니다.

 


자외선 지수가 2이하인 경우에도 햇빛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 하며 3이상 5이하일 때는 모자, 선글라스도 착용하는 것이 좋아요. 높음 단계인 6이상 7이하일 때는 긴소매, 양산을 챙기고 가급적 실내에 머무는 것이 좋습니다.

 


외출 후 햇빛 알레르기로 인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예방하려면 샤워를 하면 좋아요. 땀과 피지를 제거하고 피부 온도를 낮춰서 두드러기를 가라앉힐 수 있습니다. 차가운 수건이나 아이스팩을 감싼 수건으로 피부를 차게하는 것도 좋습니다. 샤워 후에는 보습 화장품을 사용해 피부 장벽을 강화해야 합니다.

 


햇빛으로 인한 알레르기 증상이 심할 경우 음식 섭취에도 신경써야 하는데요. 식품 중에 자외선을 흡수하기 쉬운 광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들이 있기 때문이에요. 레몬, 자몽, 오렌지 등은 소라렌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고 이것이 햇빛 알레르기 원인이 될 수 있어서 섭취 후 2시간은 외출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집에서 햇빛 알레르기 증상 대처법으로 알로에로 만든 제품을 차게 식혀서 사용하면 좋아요. 수분크림이나 팩을 냉장고에 보관한 후 햇빛을 많이 받았을 때 바르면 피부가 진정되고 수분을 보충하여 피부 장벽기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햇빛 알레르기는 봄과 여름만 되면 반복되는데다 증상을 가라앉히는 연고를 바르는 방법외에 치료법이 없어서 예방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나아졌다고 방심하지 마시고 자외선 차단제, 양산, 옷 등으로 햇빛을 잘 차단하고 외출 후에는 열을 식히고 피부 보습을 잘 해주셔야 합니다.

반응형

'건강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결석 증상 예방  (0) 2020.07.11
땀띠 없애는 방법 알기  (0) 2020.07.09
집중력 높이는 방법 알기  (0) 2020.07.01
단백뇨의 원인 모음  (0) 2020.06.29
모낭충 제거 방법 팩  (0) 2020.06.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