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화씨(°F)와 섭씨(°C)가 있으며,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섭씨를 사용합니다. 이 두 단위는 기온을 측정하는 기준이 달라서 화씨 섭씨 변환 또는 섭씨 화씨 변환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온도 변환 방법을 어렵게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두 단위를 변환하고 싶다면 화씨 섭씨 변환 공식으로 계산하거나 자동 계산기를 사용하면 됩니다. 그 방법을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화씨 섭씨 변환 또는 섭씨 화씨 변환 공식을 알아보기 전에 두 단위가 의미하는 것을 정확히 알아둘 수 있었으면 합니다. 어떤 기준으로 사용되는지 어떤 기호로 표시하는지 등을 알면 기억에 오래 남아 필요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외 날씨 예보를 보다가 날씨가 100도 이상으로 나온 것을 보고 당황하지 않기 위해서 섭씨 화씨 온도에 대해 알아두어야 합니다.

섭씨 온도 단위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온도 단위로 섭씨를 사용합니다. 섭씨 온도는 스웨덴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셀시우스가 고안한 것으로 물의 상태 변화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물의 동결점 : 0°C
  • 물의 끓는점 : 100°C
  • 표기 단위 : °C

 

 

화씨 온도 단위

일부 해외에서는 온도 표기 단위로 화씨를 사용합니다. 화씨는 독일 물리학자 파렌하이트가 고안한 것으로 섭씨와 마찬가지로 물의 얼음점과 끓는점을 기준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다만, 두 단위는 기준이 다르고,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 물의 동결점 : 32°C
  • 물의 끓는점 : 212°C
  • 표기 단위 : ℉

 

화씨를 고안한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는 일상생활에서 마이너스 온도 표기가 최소화되도록 기준을 정한 것입니다.

 

 

온도 단위 변환 공식

1. 섭씨 화씨 변환 공식
화씨를 섭씨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해외에 거주 중인 가족이나 친구가 100도가 넘을 정도로 덥다고 했을 때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화씨로 표시하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서 화씨 100℉를 섭씨 온도로 변환할 경우 아래 공식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섭씨℃=(화씨℉)-32÷1.8

=(100−32)÷1.8
=68÷1.8
=37.8°C

친구가 100도가 넘는다고 한 것은 화씨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섭씨로 하면 37.8°C를 말하는 것입니다. 한여름의 날씨입니다.

 


2. 화씨 섭씨 변환 공식
반대로 섭씨를 화씨로 변환할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많은 나라에서 섭씨 온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씨를 섭씨로 변환하는 것을 알아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섭씨 26°C를 화씨로 변환할 경우 아래 공식으로 계산을 해야 합니다.

▶화씨℉=섭씨℃×1.8+32

=(26×1.8)+32
=46.8+32
=78.8℉

섭씨 26°C는 화씨 78.8℉로 변환할 수 있는 것입니다. 공식을 확인했지만 섭씨 화씨 변환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포털사이트의 온도 변환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네이버 온도 단위 변환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는 길이, 넓이, 무게, 속도, 온도 등 다양한 단위를 변환할 수 있는 계산기가 있습니다. 누구나 무료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머리로 계산하는 것보다는 정확합니다.

온도에서 변환하고 싶은 단위를 선택 후 숫자를 입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섭씨 화씨로 변환

  • 10°C = 50℉
  • 20°C = 68℉
  • 25°C = 77℉
  • 30°C = 86℉
  • 35°C = 95℉
  • 40°C = 104℉

 

섭씨에서 화씨로, 또는 화씨에서 섭씨로 온도를 변환하는 공식이 처음에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연습을 하다보면 쉽게 변환할 수 있으며, 계산기로도 빠르게 변환할 수도 있습니다. 소개해드린 내용을 기억해 두었다가 여행하거나 다른 나라 날씨를 확인할 때 헷갈리지 않았으면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