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섬망 증상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섬망과 치매의 차이나 섬망 증상에 대처하는 방법을 몰라서 곤란한 경험을 했던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섬망 뜻과 원인 섬망 증상에 대처하는 방법, 치료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섬망 뜻
질병이나 약물의 부작용 등으로 인해 뇌가 불안해지고 인기기능이 저하되는 정신질환입니다.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정신 장애로 특히 고령자에게 많이 발병하며 선망 증상 기간은 몇 시간에서 며칠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드물게 몇 달 이상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어제까지는 아무렇지 않았던 사람이 갑자기 심한 피해망상이나 환시, 환청을 호소하였다면 섬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대처가 늦어지면 점점 악화되기 때문에 서둘러 치료해야 합니다.
섬망 뜻을 풀이해보면 譫(헛소리 섬) 妄(망령될 망)으로 이우러져 있습니다.
섬망이 발생하면 주로 다음 5가지와 같은 정신 증상이 나타납니다.
수면 장애 불면증
수면과 각성의 리듬에 문제가 생겨서 낮과 밤이 바뀌는 생활을 하게 되며 불면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환각 및 망상
보이지 않는 것이 보인다고 하거나 있지도 않은 사람의 존재를 느낍니다. 실제로 없는 벌레, 동물이 보이거나 벽에 걸린 옷을 보고 사람이 쳐다보고 있다고 합니다.
기억 장애
섬망 증상으로 기억력에도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수술 후 깨어났을 때 왜 병원에 있는지 모를 수 있습니다. 노인의 경우 수술후 섬망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분 장애
감정이 불안정해지며 갑자기 화를 내거나 울거나 웃을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일도 하고 싶어지지 않으며 활동성이 저하되고 평소와 다른 사람이 된 것 처럼 보입니다.
섬망 원인은
어떠한 신체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이, 음주 등도 영향을 끼치며 65세 이상이며 병에 걸렸거나 현재 병을 앓고 있을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 섬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는 신부전, 간부전, 치매, 뇌졸중, 파킨슨병, 암, 탈수, 열사병 등 다양합니다. 심한 스트레스와 환경의 변화도 섬망 원인이 됩니다.
수술 후 섬망 증상
섬망은 수술 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수술 후 섬망이라고 합니다. 수술로 인한 심신의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며 수술 중이나 수술 후 사용한 약물이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섬망과 치매 차이
언뜻 보면 치매와 비슷하지만 섬망과 치매는 차이가 있습니다. 섬망은 갑자기 발병하고 초기 증상으로 환각, 망상, 주의산만, 집중력 저하 등이 나타납니다. 또한 저녁~밤 사이에 심해지며 증상이 몇 시간~며칠 지속됩니다. 치매는 서서히 기억장애가 발생하며 시간, 장소에 대한 감각이 저하됩니다.
섬망은 치료에 따라 완전 회복을 할 수 있지만 치매는 그렇지 않습니다. 섬망은 뇌의 일시적인 이상으로 인한 것이지만 치매는 뇌세포의 손상이 원인이라서 완전 치유되지 않습니다.
섬망 증상에 대처하는 방법
▷섬망 상태에서는 사고를 일으킬 수 있어서 조용한 장소에서 휴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불안하고 혼란해하지 않게 현재 상황을 잘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름이나 지금이 낮인지 밤인지, 날짜 등 알려줍니다.
▷환자를 불안하게 만드는 그림자, 소음, 강한 불빛을 치우는 것이 좋습니다. 또는 그것이 무엇인지 침착하게 설명하고 직접 만져보게합니다.
섬망 치료법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나이질 수 있는 질병입니다. 하지만 결코 방치해서는 안 되며 대부분 입원 치료를 받습니다.
약물 치료
약물을 사용하여 섬망 증상인 불안, 초조, 흥분 등을 가라앉힙니다. 정신 장애 중 하나라서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하게 됩니다.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다는 이를 치료해야 합니다.
비 약물 치료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치료법도 있습니다. 섬맘에 영향을 주는 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소리나 빛 등을 조절하고 불필요한 자극을 최소화합니다. 아침에 일어나 햇빛을 받으며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고, 낮에 활동하여 밤에 수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섬망은 치매와 다르게 일시적으로 나타나며 잘 관리하면 나아질수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었으면 합니다.
'건강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정 몸무게 계산법 남자 여자 (0) | 2023.03.06 |
---|---|
대사증후군 주의단계 관리방법 (0) | 2023.02.27 |
당뇨 전단계 관리방법 완치가능 할까 (0) | 2023.02.17 |
콘드로이친 복용시간 복용법 (0) | 2023.02.15 |
배에서 부글부글 끓는 소리가 나요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