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칼륨 수치가 약간 높은 정도일 때는 나타나는 증상이 없지만 정상보다 칼륨 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이 많아지게 됩니다. 메스꺼움 복통은 물론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으며 부정맥으로 인한 심장 이상까지 나타날 수 있어서 칼륨 수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칼륨은 우리 몸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미네랄의 하나입니다. 채소와 과일, 생선, 고기 등 다양한 음식에 들어 있습니다. 건강한 사람의 칼륨 수치는 3.5 ~ 5.0 mEq/L이며 5.0 mEq/L을 넘을 경우 고칼륨혈증이라고 하며 칼륨 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인 근력 저하, 저림, 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칼륨 수치가 높아지는 이유가 있나요.

음식 등으로 많은 칼륨을 섭취했다하더라도 신장 기능이 정상이면 소변으로 칼륨이 배출됩니다. 하지만 신장 기능이 나빠지면 칼륨이 소변으로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쌓여서 칼륨 수치가 높아지게 됩니다. 신장 질환이 있으면서 칼륨을 과다 섭취했을 때 외에 일부 혈압약과 진통제가 수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칼륨 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

근력의 저하 

칼륨은 근육을 움직이고 신경의 신호를 전달할 때 사용되는데 지나치게 많아지면 제대로 사용되지 못해 근력이 저하되거나 컨디션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손발을 움직이는 것이나 힘을 주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메스꺼움, 구토

몸속 칼륨 수치가 높으면 다양한 컨디션 불량이 나타나는데 메스꺼움이나 구토 등도 발생하게 됩니다. 신부전 같은 고칼륨 혈증이 발생하게 되는 지병을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다면 진찰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부정맥

칼륨 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 중에 주의해야 할 것이 부정맥입니다. 칼륨 수치가 높으면 심장 근육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비정상적으로 수축하여 심장 두근거림, 식은땀, 호흡곤란, 현기증, 실신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증상

칼륨 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칼륨 수치가 높아도 증상이 없는 분들도 있습니다. 고칼륨혈증 기간이 길어질 경우 몸이 익숙해져 버려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칼륨 수치 높으면 대처방법

칼륨 수치가 높으면 부정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심장 마비까지 나타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장 질환이 있을 경우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제한하고 약물로 체내의 칼륨을 배출하기도 합니다.

칼륨이 많은 음식 줄이기

 

연근, 호박, 시금치 등의 채소, 바나나, 말린 과일, 말린 표고버섯, 감자류는 칼륨이 많이 들어 있어서 과식하지 않고 삶거나 데치는 등의 방법으로 먹습니다. 야채, 과일에는 칼륨은 물론 몸에 필요한 비타민, 식이섬유도 풍부하기 때문에 완전히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먹는양, 먹는방법, 종류를 고려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칼륨 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을 간과하면 손발 저림, 부정맥은 물론 심장 이상까지 나타나게 됩니다. 건강검진 결과 칼륨 수치 가 높게 나왔다면 식생활에 주의하는 것은 물론 필요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