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무릎에 물이 찼을때 치료법을 알아볼까요. 무릎에 물이 차서 병원을 찾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데요. 무릎에 물이 차면 부은 느낌이 들고 구부리고 펴는 것이 불편하고 통증도 느껴집니다. 나아지겠지 방치하면 오히려 심해질 수 있어서 무릎에 물이 찼을때는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찾아 개선해야 합니다.
무릎에 물이 찬다는 말을 전혀 들어보지 못한 사람도 있을 것 같아요. 무릎 관절안에는 관절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도와주는 윤활유 역할과 관절 연골에 영양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관절액이 있는데요. 무릎에 물이 찼다는 것은 이 관절액이 과다 분비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관절액 그러니까 왜 무릎에 물이 차는 걸까요. 활막에서 만들어지는 관절액은 평소 일정하게 유지가 되는데 노화, 지나친 사용, 세균감염, 관절염 등으로 관절에 염증이 발생하면 이를 억제하기 위해 많은 양이 분비됩니다.
무릎에 물이 찼을때 치료법으로 이유를 알고 예방 중요하며 물이 차는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50대 이상은 관절염으로 인해 무릎에 물이 차게 됩니다. 노화, 지나친 사용으로 인해 연골이 닳아 뼈와 뼈가 부딪치면 염증이 발생하며 무릎이 붓고 통증이 나타납니다.
관절 표면에 있는 연골이 닳아서 관절액 속으로 떨어지면 우리 몸은 이를 이물질이라고 인식을 하게 되며 이를 씻어내기 위해 무릎에 물이 차게 (관절액 증가) 되는 것입니다. 즉 염증이 발생했을 때 이를 억제하기 위해 평소보다 많이 분비되는 것입니다.
젊은 사람도 비만이나 운동 중 부상을 당해 관절에 염증이 생겨 무릎에 물이 찼을때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흔히 관절염을 노인의 질환으로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데 비만, 부상, 장시간 서서 일하는 것 걷는 것으로도 관절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무릎에 물이 찼을때 증상을 알아두세요. 무릎에 물이 차면 붓기 때문에 구부리고 펴는 것이 힘들며 걷기조차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관절 내부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통증도 발생합니다. 통증은 갑자기 발생하거나 늘 느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염증 반응으로 인해 열감이 느껴집니다.
무릎에 붓기, 통증, 열감 등이 느껴질 경우 치료법을 알아두세요. 초기 무릎에 물이 찼을때 치료법으로 냉찜질, 보호대 착용, 휴식을 취하는 것이 도움이 돼요. 염증 반응을 가라앉히기 위해 냉찜질을 하는 것으로 수건으로 감싼 얼음팩으로 10분 정도 찜질합니다.
무릎 보호대를 사용하는 것도 초기 증상 치료법으로 도움이 돼요. 보호대를 사용하면 관절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걷기 가능합니다. 무릎을 보온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치료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72시간이 지나도 무릎이 물이 찼을때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냉찜질과 휴식 등의 치료법으로는 해소하기 어려워요. 장기간 물이 차있으면 관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붓기,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커지기 때문에 물을 빼는 치료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무릎에 물이 찼을때 치료법으로 물을 빼는 것이 효과가 있나요. 통증을 가라앉히는데 효과가 있지만 원인을 해소하지 않을 경우 또 쌓일 수 있어요. 손상 된 곳은 없는지 정확하게 검사하고 원인 질환이 찾아 치료를 해야 합니다. 연골주사를 포함 자신에게 필요한 치료법을 찾아야 합니다.
초기에는 약을 먹거나 보호대 착용, 휴식 등으로 나아지지만 해당되는 증상이 있다면 검사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무릎을 펴면 부종 때문에 양쪽 무릎이 달라요. 열감이 느껴지고 부어 있어요. 계단을 오르내리기가 힘들어요. 구부리고 펴는 동작이 힘들어요.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검사 받아야 합니다.
평소 무릎에 물이 차지 않게 하는 습관을 알아두세요.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하고 앉기 등은 관절에 많은 부담이 가해지므로 삼가는 것이 좋아요. 건강을 위해 계단 오르기 운동을 하는 분들이 있는데 내려올 때는 무릎에 부하가 크게 걸리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손잡이를 잡고 내려와야 합니다.
자신의 체력에 맞는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체중을 감량해야 돼요. 관절에는 늘 체중의 4~6배의 부하가 걸려 있으며 비만할 경우 그 부담이 더 커집니다. 평소 무릎에 물이 자주 차고 붓는 사람은 체중을 감량해야 하며 알맞은 운동으로는 실내 자전거, 아쿠아로빅 등이 있습니다.
관절염 예방에 도움되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무릎에 물이 찼을때 치료법이자 예방법으로 효과가 있어요. 칼슘이 풍부한 우유, 콩, 뼈째먹는 생선은 물론 염증에 좋은 우슬뿌리, 보스웰리아, 초록입홍합, 유근피, 황기 등을 챙기면 좋습니다.
'건강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충혈의 원인 해소 (0) | 2020.08.01 |
---|---|
오줌소태 원인 예방 (0) | 2020.07.28 |
하체 운동기구 효과 종류 (0) | 2020.07.21 |
피부 붉은반점 이유 (0) | 2020.07.17 |
더위 먹었을때 치료법 (0) | 2020.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