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강은 한식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재료 중 하나로 감칠맛을 주고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데요. 다만, 잘못 보관하면 상하거나 말라버릴 수 있어서 생강 보관법을 신경 써야 합니다. 특히 김장철에는 생강을 대량으로 구입하기 때문에 남은 생강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보관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흙생강과 깐생각 각각의 올바른 보관법을 소개해드릴게요.
흙생강과 깐생강 보관 주의
생강은 보관이 까다로운 재료 중 하나인데요. 수분 함량이 높아 쉽게 곰팡이가 생기거나 부패될 수 있으며, 온도와 습도에도 민감합니다. 껍질을 제거한 경우 더 빨리 부패되기 때문에 보관을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생강 보관법을 신경써야 하는 이유로 생강이 썩었을 때 발생하는 독성물질이 있어요. 생강이 썩으면 사프롤이라는 물질이 생길 수 있는데 이는 건강에 해롭습니다. 소화불량, 복통은 물론 심하면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생강을 보관할 때는 주의를 해야 합니다.
흙생강 보관법
상온 : 날씨가 추운 계절에는 실온에 보관할 수 있어요. 흙이 묻은 그대로 신문지나 키친타월에 싸서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합니다. 보관하기 전에 상한 부위는 제거합니다.
냉장 : 기온이 높은 계절에는 흙생강도 냉장보관해야 합니다. 흙은 제거하지 않고 신문지나 키친타월로 감싸서 밀폐 용기에 보관합니다.
흙이 묻은 상태로 보관할 경우 본래의 맛이나 향을 오래 유지할 수 있어서 좋은데요. 다만, 좀더 오래 보관해야 할 경우에는 껍질을 제거 후 냉동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깐생강 보관법
껍질을 제거하면 상하기 쉽기 때문에 보관법을 신경써주셔야 하는데요. 일단 껍질 제거 후 깨끗하게 씻은 생강은 물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물기가 남아 있으면 생강이 부패될 수 있어요.
냉장 : 깐생강을 키친타월로 감싸서 밀폐 용기에 보관합니다. 야채칸에 넣어 보관하면 4일 정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냉동 : 장기보관을 하기 위해서는 얇게 썰거나 다져서 냉동보관을 해야 합니다. 생강을 냉동 보관하면 몇 개월은 두고 드실 수 있어요.
생강 오래 보관법 냉동
1. 생강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껍질을 제거합니다.
생강 껍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은데요. 생강 마디마디 톡톡 자른 후 물에 30분 정도 담가둡니다. 소쿠리에 넣고 손으로 비비면서 껍질을 까면 어느 정도 제거가 됩니다. 굴곡진 부분의 껍질은 숟가락이나 과도로 긁으면서 제거해 주세요.
2. 물기를 말립니다.
3. 사용할 용도에 맞춰서 자릅니다. 편으로 썰거나 믹서로 갈아도 됩니다.
4. 자른 생강을 지퍼팩에 담아 공기를 최대한 제거합니다.
5. 평평하게 펴서 냉동실에 보관합니다.
냉동 보관하는 방법 외에 말려서 보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생강을 너무 많이 구입했는데 냉장고 자리가 부족하다면 말려서 가루로 만들어서 보관합니다.
생강 건조하는 방법
1. 생강을 깨끗하게 씻어서 손질 후 얇게 편으로 썹니다.
2. 식품 건조기를 70도로 맞춰서 약 10시간 정도 생강을 말립니다.
3. 말린 생강을 믹서로 곱게 갈아서 밀폐 용기에 담습니다.
4. 생강가루는 소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장기 보관해야 할 경우 냉동 보관합니다.
겨울에는 감기 예방을 위해 생강청으로 만들어서 보관하기도 하는데요.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니, 남은 생강으로 만들어보세요.
생강을 곱게 갈아서 설탕과 1:1 비율로 냄비에 끓입니다. 끓이지 않고 숙성하는 방법도 있지만 생강청 갈아서 만들기가 알싸한 맛이 덜해서 먹기 편합니다. 끓여서 상온에 하루 숙성 후 냉장 보관하면서 드시면 됩니다.
흙생강과 깐생강 종류에 따른 보관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장기 보관을 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껍질 제거 후 냉동을 하거나 건조기로 말리거나 청으로 만들면 좋습니다.
'소소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홉수 뜻 만나이로 계산하면 몇년생일까 (0) | 2024.12.07 |
---|---|
크리스마스꽃 포인세티아 꽃말 선물의미 (0) | 2024.12.05 |
콩 한되 무게 정확히 얼마일까 (0) | 2024.11.30 |
오늘 한강물 온도 확인법 언제 꽁꽁 얼까 (0) | 2024.11.28 |
2025년 뱀의 해 삼재띠 무슨띠일까 (0)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