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긴급 상황을 대비하여 집 근처 민방위 대피소 위치를 알아두면 좋은데요. 저도 최근 대피소 위치를 확인했는데 의외의 장소가 대피소였습니다. 근처 학교가 민방위 대피소가 아닐까 생각했는데, 제가 사는 지역을 민방위 대피소 조회를 해보니 학교는 없었습니다. 아직까지 대피소 위치를 모르는 분들은 아래 방법으로 미리 확인해 두세요.
미리 민방위 대피소 위치 찾기
지진 같은 재난 대비는 물론 북한의 위협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평소 안전한 대피소를 알아두어야 하는데요. 가까운 대피소 위치를 파악해 두면 신속하게 피하고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마음 같아서는 근처에 방공호를 마련해 두고 싶지만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기에 대피소 위치라도 파악해 두었어요.
대피소는 가족들 모두가 알고 있어야 뿔뿔이 흩어지지 않고 재회할 수 있으며, 민방위 대피소 조회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준비된 사람만이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민방위 대피소 찾는 방법 알기
<국민재난안전포털>이라는 곳에 방문하면 집 근처 대피소 위치를 검색해 볼 수 있어요. 알려드리는 순서대로 하면 돼요.
1.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 방문
2. 상단 메뉴에서 민방위 선택하기
3. 비상시설 - 대피시설 선택하기
4. 주소 입력하여 내 주변 대피소 검색하기
대피시설이 검색되지 않았다면 법정동으로 검색해보세요. 좀 더 넓은 범위의 대피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직접 민방위 대피소 조회를 해본 결과 아파트 지하주차장이 대피소로 나오더라고요. 가까워서 다행이다 싶으면서도 과연 아파트 지하주차장이 대피소의 역할을 할 수 있나 의문이 들었습니다. 이사 오기 전에 살던 아파트도 지하주차장이 있었는데 거기는 왜 대피소로 지정되지 않았을까라는 궁금증도 생겼습니다.
아파트 지하주차장 대피소인 이유
지하라서 폭격, 공습에 안전하다
지하 공간이라서 폭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해요. 파편이나 충격을 막아줄 수 있다고 합니다. 건물이 무너지면 어쩌지라는 걱정도 들었는데 상층부가 무너질 가능성이 있어도 완전 붕괴는 드물다고 합니다. 다만, 출입구 확보가 중요하다고 해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빨리 이동할 수 있는 것도 지하주차장이 대피소로 지정된 이유인데요. 아파트 주민의 경우 멀리 이동하지 않아도 즉시 대피 가능합니다.
넓다
지하주차장은 넓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어요.한 가구당 1~2대 정도의 차량을 고려해서 설계되기 때문에 지하주차장은 상당히 넓습니다.
우리 아파트 지하주차장 대피소 아닌 이유
모든 아파트의 지하주차장이 민방위 대피소로 지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해요. 벽체 두께, 내진 설계, 환기 시설을 충족해야만 대피소로 지정될 수 있어요. 이미 가까운 곳에 더 나은 대피소가 있을 경우에도 지정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대피소로 지정되려면 정부의 기준을 통과한다는 것을 알아두세요.
민방위 대피소 연수구 기준 찾기
- 동춘역 대합실 지하 1중
- 동막역 대합실 지하 1층
- 연수구청 지하 1,2 층
- 아파트 지하주차장 1~2층
- 테크노파크역 대합실 지하1층
- 캠퍼스타운역 대합실 지하 1층
- 인천대입구역 대합실 지하 1층
- 센트럴파크역 대합실 지하 1층
- 지식정보단지역 대합실 지하 1층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대합실 지하 1층
민방위 대피소 지하철역 이유
대피소 위치 찾기를 해보면 지하철역 대합실이 많이 나오는데요. 지하에 위치해 있어서 파편, 충격, 폭발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며, 넓어서 많은 인원이 대피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하철역은 접근성도 좋고, 환기, 내진, 비상 출입구 등의 시설도 잘 갖추고 있어요. 외출했을 때 비상 상황이나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신속하게 지하철역으로 대피해야 하니, 가까운 역 위치 미리 확인해 두세요.
재난이 발생했을 때 나와 내 가족의 소중한 생명을 구하는 방법으로 민방위 대피소 위치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해요. 아직까지 집 근처 대피소 위치를 모르고 있는 분들이라면 오늘 당장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조회하고 찾아보세요. 마지막으로 민방위 훈련 라디오 주파수도 알아두면 좋은데요. KBS 라디오 주파수 AM 711 kHz, FM 97.3 MHz입니다.
'소소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고 후숙기간 및 잘익었는지 확인하는법 (0) | 2025.04.14 |
---|---|
승진 축하 문구 메세지 보내기 (0) | 2025.04.11 |
2025년 부처님 오신날 음력 양력 날짜 언제 (0) | 2025.04.04 |
금 한돈 중량 무게 몇그램 일까요 (0) | 2025.04.02 |
투명 책상매트 대신 다이소 시트지로 깔끔해진 서랍장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