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해마다 찾아오는 동지 날짜가 반가운 이유는 따끈한 팥죽을 먹을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추운 겨울의 한가운데서 팥죽 한 그릇을 먹는 것은 몸과 마음에 큰 위안이 됩니다. 게다가 동지가 지나면 해가 점점 길어지기 때문에 봄이 다가오고 있다는 설렘을 느낄 수 있습니다. 2024 동지 날짜는 언제인지 일출 일몰은 언제 인지 꼭 확인해 두세요.

 

 

동지 뜻

한자로는 冬至라고 쓰며, 한자를 풀이하면 겨울 동(冬)과 이를 지(至) 즉, 겨울에 이르렀다를 의미합니다. 동지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동지를 기점으로 하루하루 해가 길어지기 시작하는데요. 이에 조상님들은 동지를 한 해의 시작, 작은 설로 여겼습니다.

 

 

태양이 다시 살아나는 낮이 길어지는 2024 동지 날짜는 언제 일까요. 제게 동지는 맛있는 팥죽을 먹을 수 있는 날이라서 달력에 표시가 되어 있는데요. 동지 날짜는 매년 조금씩 다른데 보통 양력으로 12월 21~23일 사이에 해당됩니다.

2024 동지 날짜 언제

12월 21일 토요일이 동짓날입니다. 마침 주말이라서 집에서 팥죽을 만들거나 팥죽 맛집인 친척집에 방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올해 동지 팥죽, 팥시루 뭐 먹지

동지에 먹는 음식인 팥죽은 해마다 먹을 수 있는 것이 아닌데요. 애동지에는 팥죽을 만들어 먹지 않고 팥시루떡을 먹습니다.

▶애동지 : 동지가 음력 1~10일에 들었을 때
▶중동지 : 동지가 음력 11~20일에 들었을 때
▶노동지 : 동지가 음력 21~31일에 들었을 때

2023년 동지는 음력 11월 10일로 애동지에 해당하였는데요. 때문에 팥죽 대신 팥시루떡을 먹었습니다. 팥죽을 사서 먹어도 되지만 집에서 만들어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애동지에 팥죽 안 먹는 이유
삼신할머니라고 10살까지 아이들을 지켜주는 존재가 있는데요. 애동지에 팥죽을 먹으면, 삼신할머니가 못 오시고 아이들을 돌보지 못한다고 합니다. 과학적 근거는 없지만 애동지에는  집에서 팥죽을 끓이지 않고 팥시루떡을 먹는다고 합니다.

 

 

2024 동지 노동지

2024년 올해 동지는 음력으로 11월 21일 (양력 12월 21일)로 노동지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집에서 팥죽을 만들어 드셔도 됩니다. 직접 만들면 입맛에 맞출 수 있고 넉넉하게 만들어서 가족, 지인들과도 나눌 수 있어서 좋아요. 냉동 보관해 두었다가 먹고 싶을 때 꺼내 편하게 데워 먹을 수도 있습니다.

동지 팥죽 먹는 이유 : 한 해 동안 액운을 쫓고 복을 기원하기 위해 먹었으며,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도 먹습니다.

팥죽 효능

1. 피로 회복 : 팥의 비타민B 가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겨울철 피로를 회복시켜줍니다.

2. 면역 강화 : 사포닌과 항산화 성분이 면역력을 높여, 감기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3. 혈압 조절 : 칼륨 성분이 나트륨과 불필요한 수분을 배출하여 혈압을 낮추고 부종을 완화해 줍니다.

4. 혈관 건강 : 사포닌이 나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쌓이는 것을 예방하고 혈관을 튼튼하게 해 줍니다.

이렇게나 효능 좋고 맛있는 팥죽을 안 먹을 수는 없겠죠. 올해 동지에도 꼭 팥죽을 드실 수 있었으면 합니다.

 

 

동지 일몰시간 일출시간 언제

동지가 되면 낮이 짧고, 밤이 길다고 하였는데요. 구체적으로 낮이 얼마나 짧아지고 밤은 얼마나 길어지는 걸까요.

동지 일출 해뜨는 시간 : 양력 12월 21일 서울 해뜨는 시간을 알아보니 7시 43분입니다. 여름에는 5시만 넘어도 환했는데 겨울에는 7시도 어두워서 아침 운동하러 나가기 귀찮더라고요.

동지 해지는 일몰 시간 : 해는 17시 17분에 집니다. 오후 5시만 되어도 어둑어둑 해지기 때문에 겨울에는 야외 활동하는 시간이 짧아집니다.

 

  • 일출시간 : 오전 7시 43분
  • 일몰시간 : 오후 5시 17분
  • 낮의 길이 : 약 9시간 34분

 

동지가 지나면 조금씩 해 뜨는 시간이 앞당겨지기 시작하면서, 긴 겨울을 서서히 벗어날 수 있게 됩니다. 겨울은 길고 춥지만, 따뜻한 봄이 반드시 돌아옵니다. 동지 팥죽은 물론 겨울 제철음식 드시면서 건강 관리하여 활기차게 봄을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